





낙엽이 덮혀서 길이 잘 보이지 않지만 구조표시판 몇 걸음 뒤에서 왼쪽으로 가면 이곳에서 대덕산으로 올라가는 정상적인 등로이고 오른쪽으로 가면 계곡을 따라 잘 알려지지 않는 코스로 대덕산으로 오르게 된다.














v













































임휴사는 일찍이 신라 말엽인 921년(경명왕 5년)에 중국 당나라에서 불법을 수행하여 크게 선풍을 진작하고 귀국한 영조대사(靈照大師:870-947)가 창건한 이래 서기 1811년(순조 11년)에 무주선사(無住禪師)가 중창하였으며 1930년에 포산화상(苞山和尙)이 3창을 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후삼국시대에 백제와 고려의 각축장이 되었던 팔공산 지역에서 고려를 세운 왕건과 후백제의 견훤이 일대 격전을 치른 곳으로 왕건이 탈출하다가 임시로 군막을 치고 피곤한 몸을 잠시 쉬어 갔다고 하여 임휴사(臨休寺)라는 사명(寺名)이 만들어 졌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 대구의 산 > 대덕산-앞산-산성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서구 청소년수련관에서 대덕산 찍고 매자골로 하산 (2-1) (0) | 2022.12.29 |
---|---|
청소년수련원 뒷쪽(돌탑 지능선)에서 대덕산 찍고 달비골관리소로 하산 (3-3 end) (1) | 2022.12.28 |
청소년수련원 뒷쪽(돌탑 지능선)에서 대덕산 찍고 달비골관리소로 하산 (3-1) (1) | 2022.12.28 |
안지랑골 통일기원돌탑부근에서 능운정 코스 (0) | 2022.12.01 |
안지랑골 공영주차장 - 안일사 - 앞산전망대 - 앞산정상 - 왕굴 - 통일기원돌탑 - 안일사 - 안지랑골 공영주차장 (0) | 2022.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