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영영의 보금자리
▣ 청도의 산

청도군청-대포산-봉수대-삼면봉-남산-신둔사-낙대폭포~청도군청 (2)

by 영영(Young Young) 2010. 2. 19.

  ▼ 소나무 아래에는 한재마을 뒤로 화악산 능선이 뚜렷하게 들어온다.

 

 ▼ 등로의 정면에는 남산 능선이 점점 가까와지고 ~

 

 

 

 ▼ 등로의 우측으로는 청도 화양읍의 전망이 쉬원스레 터진다. 멀리 보이는 청도 상설투우장을 줌으로 댕겨본다.

 

 

 

 

 ▼ GPS 804m 전망봉에 오르면 입구에 소나무 한그루가 서있고 ~

 

 

 

 ▼ 좌측으로는 한재마을과 화악산 능선의 전망이 터지는데 우측은 조망이 막혀있다.

 

 ▼ 한재고개
봉수대 갈림길에서 암릉구간과 능선길을 따라 30여분을 가면 한재고개에 닿는다. 등산로안내도가 서있다.

 

 ▼ 한재고개 이정표(↑남산정상 0.8km, →신둔사 1.75km, ↓봉수대 1.6km)
지금까지 온길이 봉수대, 오른쪽이 신둔사, 직진하여 바로 뒷쪽의 봉우리로 올라간다.

 

 ▼ 한재고개 청도 남산 등산로 안내도(현위치 한재고개)

 

 ▼ 삼면봉 직전 암봉
로프(쇠사슬)을 잡고 삼면봉 직전의 암봉에 올라선다. 로프의 길이가 20m는 족히 될것같이 길다.

 

 

 

 

 

 

 

 ▼ 암봉에 올라서면 지나온 능선이 한눈에 들어온다.

 

 ▼ 삼면봉(852m봉)
한재고개에서 5분정도 되어 삼면봉에 닿는데 3개면(청도.화양.각남면)의 꼭짓점에 있다고 해서 이름 붙은 삼면봉은 조망은 막혀있다.

 

 ▼ 삼면봉의 바윗더미 꼭데기에 청도산악회에서 세운 구형이정표가 있다.

 

 ▼ 구형이정표(한재고개 170m, 정상 580m, 밤티재 1,570m)

 

 ▼ 구형이정표의 뒷면에는 "그산에 오르고 싶은 山, 삼면봉 852m, 산그리움" 이라는 팻말이 붙어있다.

 

 ▼ 삼면봉의 바윗더미 아래에는 등산안내도(신형이정표)와 구급함, 119표지판이 나란히 서있다.

 

 

 

 ▼ 신형이정표(↗남산정상 0.6km, ↖밤티재 1.5km, ↓낙대폭포 4.3km)
지금까지 온길이 낙대폭포, 왼쪽길은 밤티재, 오른쪽길 남산정상으로 진행한다.

 

 ▼ 청도남산등산로안내도(현위치 : 삼면봉)

 

 ▼ 구급함(남산골 05)

 

 ▼ 119표지판 : 현위치 남산 5번 지점

 

 

 

 ▼ 암봉 앞 삼거리
큰 암봉 앞에서 왼쪽으로 가면 바위로 오르지 않고 우회하는 길이고, 오른쪽으로 가면 바위로 올라 직진하는 길임.

 

 ▼ 바위의 오른쪽으로 가서 ~

 

 ▼ 로프(쇠줄)를 잡고 바위를 오른다.

 

 

 

 ▼ 암봉에 올라 오른쪽으로 고개를 돌리면 지나온 능선이 한눈에 들어오고 ~

 

 ▼ 은왕봉 능선아래 신둔사도 시야에 들어온다.

 

 ▼ 산기슭에 자리잡은 신둔사를 사알짝 댕겨보고 ~

 

 ▼ 가야할 능선도 잠시 바라본다.

 

 ▼ 남산 정상(870m)
삼면봉에서 15분 정도를 가면 남산 정상에 닿는데 조망이 그리 시원치 않다. 청도산악회에서 세운 정상석과 남산종주거리 및 등산로 안내판이 서있다.

 

 ▼ 정상석 : 南山 海拔 870m 淸道山岳會

 

 ▼ 정상석의 이면에는 1992.5.21일 청도산악회에서 청도군과 항공대의 협조를 얻어 이 표석을 세웠다고 기록하고 있다. 2톤이 넘는 자연석을 헬기를 이용하여 이곳으로 옮겼다고 한다.

 

 ▼ 남산종주거리 및 등산로 안내판

 

 

 

 

 

 

 

 ▼ 헬기장(GPS 856m)
정상석 오른쪽으로 난 능선을 따라 3분쯤 가면 헬기장을 만난다. 헬기장 표식이 눈속에 덮혀 보이지 않는다.

 

 ▼ 헬기장에서 왼쪽으로 보면 두개의 능선이 보이는데 왼쪽 능선은 화강지(저수지) 앞으로, 오른쪽 능선은 공설운동장으로 이어진다.

 

 

 

 

 

 ▼ 헬기장에서 왼쪽길은 죽림사로 가는 주능선 길이고, 오른쪽 지능선을 따라 내려오면 등로 오른쪽에 위치한 전망바위를 만난다.

 

 ▼ 전망바위에 서면 정면에 화양읍 일대와 청도상설투우장이 보이고 ~

 

 ▼ 줌 ~ 청도상설투우장

 

 ▼ 오른쪽으로는 지나온 능선이 눈에 들어온다(파노라마)

 

 ▼ 전망바위에서 내려가는 길은 3개의 로프가 설치되어 있다(쇠줄2, 마닐라로프1)

 

 

 

 ▼ 두개의 로프를 같이 잡고 내려오니 몸의 균형잡기가 좀더 수월했다.

 

 ▼ 바위를 내려오니 산짐승의 발자욱이 눈위에 뚜렷이 나타나있다.

 

 ▼ 무슨 구멍일까? 등로상에 있어서 잘못하면 헛디뎌 다칠 우려가 있다.

 

 

 

 

 

 ▼ 간식타임 PM 1:00

 

 

 

 ▼ 등로 좌측에 119표지판이 있고 그 뒤로 전망바위가 있다.

 

 ▼ 전망바위 앞에 서있는 119표지판(현위치 남산2번 지점)

 

 ▼ 전망바위에 서면 좌측으로 화양읍 일원이 쉬원스레 보인다.

 

 ▼ 장군샘
헬기장에서 가파른 내리막길을 따라 25분쯤 내려오면 등로 우측에 119표지판과 등산로안내도가 있고 좌측에 장군샘이 있다.

 

 ▼ 119표지판과 등산안내도

 

 

 

 청도남산등산로안내도(현위치 : 장군샘) 

 

 ▼ 119표지판(현위치 : 남산1번 지점)

 

 ▼ 등로 좌측에 있는 장군샘. 장군샘이라고 부르기에는 좀,, 포졸샘 정도라면 모를까...

 

 

 

 ▼ 두껑이 덮혀 있었는데 열어보니 맑은물이 고여있었다. 식수로는 가능할지...

 

 ▼ 장군샘을 지나서 가파른 내리막길이 우측 사면길로 바뀌면서 산죽길이 잠시 나타난다.

 

 ▼ 남산골 상류
샘터에서 약 15분쯤 걸려 남산골 상류에 내려서게 된다.

 

 

 

 ▼ 눈덮힌 계곡에 물은 거의 말라있다.

 

 ▼ 신둔사 진입로
계곡을 건너 왼쪽으로 넓은길을 따라가도 신둔사 길을 만나지만 곧바로 직진하여 야산으로 치고 오르면 신둔사로 연결되는 시멘트 길을 만난다.

 

 ▼ 오른쪽으로 꺾어서 신둔사로 향한다.

 

 ▼ 신둔사 입구. 계곡에서 신둔사까지는 10분쯤 걸린다.

 

 

 

 ▼ 신둔사 전경(파노라마)

 

 ▼ 신둔사 우측 주차장 한켠에 등산안내도가 서있다.

 

 

 

 ▼ 이정표(←D사거리 0.5km, →남산 2.4km/한재고개 1.75km)
왼쪽으로 가면 D사거리, 오른쪽은 한재고개와 남산방향임. 왼쪽(신둔사 경내)으로 간다.

 

 ▼ 청도남산등산로안내도(현위치 : 신둔사)

 

 ▼ D사거리(은왕재)로 가기위해 신둔사 경내로 들어간다.

 

 ▼ 사찰 입구에 들어서면 정면에 1988년 신축한 "청풍루"가 있는데 큰 법회시 강당으로 사용된다고 한다.

 

 ▼ 청풍루의 오른쪽으로 오르면 종각이 있다. 이 종각은 대중을 모으거나 신라군을 피해 은왕봉에 은둔하였던 왕과 왕족들의 정령을 위로하기 위해 울렸다고 한다. D사거리로 올라가는 길은 종각 우측으로 나있다. D사거리로 올라가기전에 직진하여 잠시 신둔사 경내를 살펴본다.

 

 

 

 ▼ 대웅전 : 경내의 중앙, 종각의 좌측 안쪽에 위치하며, 정면 3칸 면적 7.6평 맞배지중으로 조선시대에 중건하였다고 전해진다.

 

 ▼ 신둔사 안내판
신둔사, 대한불교조계종, 경북 청도군 화양읍 동천리 산 657
남산 중턱에 자리잡은 신둔사는 신라 예장왕때에 보조국사 체징(804~880)이 창건하여 봉림사라 하였는데, 1667년 조선 현종 8년 상견대사가 중창하고 1878년(조선 고종 15년)에 다시 중수하여 신둔사라 개칭하였다. 석가모니부처님을 모신 대웅전은 정면 3칸 면적 7.6평 맞배지중으로 조선시대에 중건하였다고 전해오고 있으며, 큰 법화시 강당으로 사용되는 청풍루는 1988년 신축하였다. 절에서 대중을 모으기 위해서나 때를 알기고 욕계의 6천과 새계 18천과 무색계의 4천을 합하여 28천의 모든 하늘나라 대중이 들으라는 뜻으로 울리는 이곳 범종소리는 이서고국때 왕과 왕족들이 신라군을 피해 은둔하였다는 은왕봉의 정령을 위로하고 있다. * 주요전각 : 대웅전, 삼성각, 청풍루, 종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