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영영의 보금자리
▣ 대구둘레길/05코스

대구둘레길 5코스(무태팔달길)

by 영영(Young Young) 2020. 2. 23.

■ 대구둘레길 5코스


ㅇ 지난 2월 14일 대구둘레길 4코스에 이어 오늘 5~6코스를 동시에 돌아본다.
둘레길 5코스는 이제껏 팔공산 둘레길과 대구 둘레길을 돌아 본 중에 제일 많은 탐방객을 만날 수 있었다. 그만큼 남녀노소 적당한 운동과 휠링을 동시에 누릴 수 있는 무난한 코스라고 볼 수 있다. 



■ 일자 : 2020. 2. 21(금), 날씨 맑음, 포근(미세먼지 많음)


■ 코스 : 무태네거리 - 망일봉 - 함지산 - 팔거산성 - 팔달역


■ 거리 : 9.4km (트랭글 기준)


■ 시간 : 3시간 25분



■ 참고 & 추천
NAVER 블로그 "Sheenbee의 느린 걸음 이야기" 
대구 둘레길 5코스(무태팔달길)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heenbee&logNo=221461060947
깔끔한 사진(확대가능), 세세한 설명 등 더이상 말이 필요 없을 정도의 완벽한 후기를 볼 수 있다.



■ 코스 간략정리
ㅇ 공식거리 및 예상시간(대구시 홈페이지 기준)은 무태네거리(무태성당, 대구시 북구 서변동 1796)에서 팔달역(대구시 북구 팔달동 76-3)까지 약 8.8km, 5시간 30분이 소요된다.
ㅇ 팔거산성길을 따라가면 탁 트인 전망과 역사적 경관이, 연리지길을 따라가면 자연이 만들어낸 신비한 연리지 나무가 나타난다.
ㅇ 높지않은 고도에서 펼쳐지는 북구 시가지 파노라마 경관을 즐긴다.
ㅇ 등산로 주변에 자갈이나 바위가 곳곳에 노출되어 있으니 주의한다.



▲ 5코스 관련 사이트 : 대구 둘레길 참고 홈페이지 : 대구광역시 분야별(문화/관광/체육)
http://www.daegu.go.kr/cts/index.do?menu_id=00934005




▲ 5코스 지도
http://ebook.daegu.go.kr/Viewer/ZXXGV1Q8E6C5/5



▲ 대구둘레길 5코스는 무태네거리에서 출발한다. 무태네거리가 넓기 때문에 네거리 어느 지점을 시점으로 할것인가는 4코스의 종점과 연계성을 생각하면 되는데, 4코스가 동화교를 건너서 무태네거리에서 끝나는것을 감안하면 네거리 인근의 "무태성당" 쯤을 5코스의 시점이라고 볼 수 있다.
무태네거리(시외방향) 승강장에서 하차하여 대각선 방향의 동서변월드메르디앙아파트 방향으로 횡단보도를 건너간다.



▲ 횡단보도를 건너서 좌틀하여 무태성당 방향으로 서변고가차도와 나란히 간다. (돌아 본 모습이다.)



▲ 40여미터 가면 무태성당 표석 앞을 지나고 ~



▲ 또다시 50여미터 가서 삼거리에서 직진하면 ~



▲ 인도변에 "원담사"와 "모선당" 표석이 서있고 ~



▲ 도로 우측 솔숲앞에 안내판과 목계단이 나타난다.  5코스는 솔숲 목계단을 따라 시작된다.



▲ 목계단 오른쪽에는 주요 등산로 안내판(함지산 3.9km, 운암지 3.8km, 망일봉/소망전망대 1.8km)과 북구순환테마길 안내판이 서있고 ~



▲ 목계단 좌측에는 대구둘레길 5코스 무태팔달길 안내판이 서있다.



▲ 계단으로 올라서서 돌아 본 모습이다.



▲ 목계단을 따라 올라가면 ~



▲ 돌탑과 에어건 시설(흙먼지 털이기)을 만난다. 크고 작은 돌탑이 군데군데 망일봉까지 꾸준히 이어진다.



▲ 편안하고 호젓한 길이다.



▲ 이정목과 정자와 벤치, 운동시설이 있는 쉼터에 닿고 ~




▲ 무태네거리에서  0.7km지점으로 함지산 3.0km/망일봉 1.2km 방향으로 직진해서 올라간다.



▲ 직진해서 돌아 본 모습이다.



▲ 암반길이 70여미터 이어지고 ~



▲ 오르막길을 이어가면 이정목이 서있는 서변초등학교 갈림길을 만난다. 원담사에서 1.0km 지점으로 우측은 서변초등학교 0.6km, 둘레길은 망일봉 정상 0.8km 으로 직진한다.



▲ 서변초등학교 갈림길을 지나서 돌아 본 모습이다.



▲ 동네 뒷산이라 뺀질뺀질 질난길이고 같은 방향으로 이어지는 곁길도 군데군데 있다.



▲ 조금 경사가 있는 목계단을 오르는 길에 소낭구에 "망일봉 전망대 가는 길입니다. 대구둘레길" 안내판이 걸려있다.



▲ 오르막길에 이정목이 서있는 조야동 갈림길을 만난다. 원담사에서 1.46km지점으로 좌측길은 조야동 1.70km 둘레길은 망일봉 0.34km 방향으로 직진하여 올라간다. 



▲ 이정목과 돌탐이 있는 조야동 갈림길을 지나 돌아 본 모습이다.



▲ 큼직한 돌탑 몇기와 멋진 소낭구가 보이는 공터에 닿는다. 망일봉 아래 연리지 소나무가 있는곳이다.



▲ 망일봉 연리지
대구광역시 북구 서변동 산 53번지
연리지는 뿌리가 다른 나무의 줄기나 가지가 맞닿은 채로 오랜 세월이 지나면서 서로 엉켜 마치 한 나무처럼 자라는 매우 희귀한 현상을 말한다.
나뭇가지가 이어지면 연리지, 줄기가 이어지면 연리목, 뿌리가 연결된 것은 연리근이라 한다. 같은 종류의 나무는 동종연리지, 서로 다른 종류의 나무는 이종연리지라 한다. 이곳 연리지는 뿌리가 같은 한 소나무의 줄기가 갈라져서 다시 합쳐진 형태로 연리목의 일종이라 할 수 있으며 매우 특이한 것이다.



▲ 연리지를 지나 돌아 본 모습이다.



▲ 진행로 좌우로 애기돌탑을 도열해 놓았다.



▲ 큼직한 돌탑과 작은 돌탑이 조화를 이룬곳도 있고 ~



▲ 연리지에서 잠시 오르면 이정목과 정자, 전망대가 어우러진 망일봉 정상이다.



▲ 산불감시카메라 팬스옆에 이정목이 서있고 그 오른쪽 정자 앞에 정상석이 서있다.



▲ 원담사에서 1.8km 지점으로 오른쪽으로 가면 대각사 0.9km, 둘레길은 왼쪽 함지산 정상 1.8km으로 이어진다. 



▲ 망일봉(望日峯) 정상석과 그 앞에 삼각점이 놓여있고 정상석의 뒷면에는 무태마을의 유래를 기록하고 있다.



▲ 대각사 방향에는 사각형 목판의 "망일봉" 표시판이 걸려있다.



▲ 정자 오른쪽에는 망일봉 소망전망대가 위치한다. 전망대는 2017년 9월에 설치되었고 일출명소가 되었다고 한다.



▲ 전망대에는 좌우에 망원경이 있고, 중앙에 전망대 사진이 서있다.



▲ 전망대에 서있는 사진판, 확대해도 흐릿~~ㅠ



▲ 전망대에서 내려보는 조망은 미세먼지탓으로 ~ ㅠ




▲ 전망대에서 정자 방향으로 내려다 본 모습이다.



▲ 망일봉 정상석(273m, 무태산악회) 앞을 지나 ~



▲ 좌측 함지산 방향으로 내려간다.



▲ 함지산 방향으로 들어서 돌아 본 모습이다.



▲ 망일봉에서 통나무 계단을 따라 내려가는길 전방에 함지산과 헬기장이 보인다.



▲ 살짝 당겨보니 오른쪽이 함지산, 왼쪽이 헬기장이다.



▲ 돌계단을 오르면 ~



▲ 국번(국가지점번호)과 큼직한 돌탑 앞을 지난다.



▲ 내리막길에 이정목이 서있는 조야동 갈림길을 만나고 ~



▲ 망일봉 정상에서 0.4km 지점으로 왼쪽은 조야동 1.8km, 둘레길은 함지산(운암지) 1.4km/옻골공원 2.2km 방향으로 직진(오른쪽)하여 목계단을 따라 내려간다. 



▲ 조야동 갈림길을 돌아 본 모습이다.



▲ 전방에 2층 정자가 보이고 ~



▲ 정자 앞 갈림길에 이정목이 서있다. 둘레길은 이정목 앞에서 왼쪽으로 이어지지만 직진하여 정자에 들렀다가 가기로 한다.



▲ 망일봉에서 0.56km, 조야동 2.0km 지점으로 우측길은 옻골공원 1.9km, 둘레길은 좌측 함지산/운암지 방향이다.



▲ 이정목 40~50십미터 후방에 2층 정자가 있다.



▲ 북쪽으로는 북구 국우동 LH그린빌1단지아파트와 도남동 아파트 공사현장이 눈에 들어오고 ~



▲ 서쪽으로는 북구 읍내동 칠곡한양공작아파트 단지가 들어온다. 



▲ 정자에서 내려오면 오른쪽 함지산 방향으로 내려가는 길이 있지만 직진해서 방금 올라왔던 길로 되돌아 내려간다.



▲ 정자 앞에 있는 이정목 앞에서 오른쪽 함지산 방향으로 턴해서 돌아 본 모습이다.



▲ 오른쪽으로 턴해서 50~60여미쯤 내려가면 이정목이 서있는 옻골공원 갈림길을 만난다.



▲ 망일봉 정상 0.7km 지점으로 우측 사면길은 옻골공원 1.9km, 둘레길은 함지산 정상 1.0km 방향으로 왼쪽으로 내려간다.



▲ 함지산 방향으로 내려서서 돌아 본 모습이다.



▲ 전방에 널찍한 공터가 보이고 ~



▲ 공터로 내려서기 전 우측 통신주에는 휴대폰 무료충전소가 위치하고 ~



▲ 공터로 내려서는 길에 장승 2개가 보초를 선다. 장승 2개를 자세히 보면  "필요로 할때 필요해 주자"라고 새겨있다.



▲ 장승을 지나 돌아보면 반대면에는 "최선을 위해 한걸음 한걸음, 최고를 위해 말리지 말자"라고 새겨 놓았다.



▲ 장승 앞을 지나면 이정목과 정자 운동시설이 있는 널찍한 쉼터 및 체력단련장 4거리이다.



▲ 운암지로 내려가는 길목에 이정목이 서있다. 망일봉 정상 0.8km지점으로, 왼쪽은 조야동 1.8km, 오른쪽은 운암지 1.2km, 둘레길은 함지산 정상 1.08km 방향으로 직진이다.



▲ 운암지로 내려가는 길목에도 장승2개가 입구를 지키고 있고 ~



▲ 함지산 방향에 정자와 숲길 안내도가 서있다.



▲ 칠곡천년숲길 안내판
칠곡천년숲길은 2018년 고려사에 칠곡이라는 지명이 등장한 1018년으로부터 1000년에 이르렀음을 기념해 이름 붙여진 숲길이다. 이 숲길은 칠곡에서 금호강으로 이어지는 천년 세월의 옛길이다.



▲ 함지산 방향의 모습으로 진행로 좌우에 쉼터 및 운동시설이 있다. 이곳 쉼터는 짙은 황토색깔의 절정을 띠는게 특이하다.



▲ 공터에서 직진해서 함지산 방향으로 계단을 오르는길에 장승 한가족이 서있고 그 후방에도 큰 장승 2개가 입구를 지킨다.



▲ 쉼터&체력단련장을 지나서 돌아 본 모습이다.



▲ 이런 형태의 위치표시판에서 국번(국가지점번호)으로 전환되는 과도기이다. 



▲ 오르막길 통나무 계단을 올라 ~



▲ 호젓한 숲길을 따른다.



▲ 군데군데 벤취가 있어 쉬어가기도 좋다.



▲ 빤질빤질 질난 너덜길을 올라서 ~



▲ 암반길로 이어진다.



▲ 데크계단이 나타나고 ~



▲ 계단길을 얼마간 따라 오르면 ~



▲ 함지산 정상 전망대에 닿는다.



▲ 전망대에서 올라온 데크길을 돌아 본 모습이다.



▲ 전망대에는 먼저 온 일행들이 휴식과 조망을 즐기고 있고, 전망대 왼쪽에 함지산 정상석이 서있다. 함지산 정상석(287.7m, 함지산 아래사람들 산악회, 2006년 2월 26일)



▲ 전망대의 좌측 모서리에 함지산 유래에 대한 안내판이 서있다.
생김새가 함지막을 엎어 놓은 것과 흡사하여 이 산을 "함지산"이라 부르고 있습니다. 함지산은 높이 287.7m산으로 북동쪽으로는 팔공산과 연결되고 북서쪽으로는 대구 칠곡지역과 접하며 남서쪽은 팔거천을 따라 금호강까지 형성된 연봉으로 이어집니다. 함지산 정상에는 대구시 지정 기념물 제6호로 지정된 말거산성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 칠곡시내를 한눈에 담을만큼 시원한 조망이 미세먼지로 흐리다.



▲ 줌 ~~ 계곡 아래 운암지와 운암초등학교



▲ 데크 전망대를 나와 ~



▲ 전망대에서 헬기장으로 가는 방향에 산불감시카메라가 있다. 



▲ 산불감시카메라 앞을 지나 돌아 본 모습이다.



▲ 전망대를 내려서는 지점에 이정목이 서있고 후방에 헬기장이 보인다.



▲ 운암지에서 2.7km지점으로, 구암숲 2.8km 방향으로 직진한다.



▲ 헬기장 주위에는 배수로가 축조되어있고 입구에 이정목이 서있다.



▲ 이정목 방향으로 자그만 다리건너면 ~  후방에 헬기장이 위치한다.



▲ 운암지에서 3.1km지점으로, 좌측은 노곡동 2km, 둘레길은 우측 구암숲 2.4km 방향이다.



▲ 헬기장



▲ 헬기장에서도 시내 방향의 전망이 좋다.



▲ 헬기장에서 함지산 정상으로 돌아 본 모습이다.



▲ 함지산 정상 줌 ~~



▲ 헬기장을 내려가며 돌아 본 모습이다.



▲ 헬기장에서 몇걸음 내려가면 우측에 멋진 소낭구와 함께 벤치가 있고 ~



▲ 좌측에는 배수로(방공호?)의 모습이 보인다.



▲ 헬기장에서 급내리막길을 몇십미터 내려가면 좌/우 모두 뚜렷한 삼거리(우측에 묘가 있음)를 만나는데, 좌측으로 급내리막길로 내려간다. 



▲ 몇십미터 내려가면 방금전 갈림길에서 오른쪽으로 내려온길과 합류한다. (돌아 본 모습이다)



▲ 기울어진 소낭구가 고임목의 도움을 받고 있다.



▲ 소낭구와 벤치, 이정목이 서있는 나즈막한 봉우리 갈림길에 닿는다.



▲ 함지산 정상 0.3km지점으로 오른쪽은 운암지 0.8km, 둘레길은 좌측 대백인터빌 4.3km 방향이다.



▲ 좌측길로 들어서 돌아 본 모습이다.



▲ 사면길을 따른다.



▲ 진행로 우측으로 시원시원 칠곡시내가 보인다.



▲ 사면길을 따라 내려가면 이정목과 안내판이 서있는 갈림길을 만난다.



▲ 운암지 3.4km 지점으로, 오른쪽은 구암어린이집 0.7km, 둘레길은 직진 구암숲 2.1km 방향이다.



▲ 이정목 오른쪽에 팔거산성 안내판과 팔거산성 표석이 서있다.
팔거산성 안내판
대구광역시 기념물 제6호
소재지 : 대구광역시 북구 노곡동 산1
이 성은 독모성으로 기록되기도 한다. 금호강의 북쪽 동명천의 동쪽에 자리잡은 해발 290m의 함지산 꼭대기를 따라 만들어진 테뫼식 산성으로 돌과 흙을 함께 이용하여 쌓은 것이다. 길이는 1.5km이며 높이는 성밖에서 5m인데 서쪽 성벽에 망루가 있다.
성안에는 삼국시대 토기 조각득이 발견되었고, 성과 붙어있는 서남쪽 구릉에는 삼국시대 무덤들이 널려있는 것으로 보아 삼국시대 산성으로 추측된다.



▲ 팔거산성 안내판 오른쪽에 또다른 이정목이 서있다. 함지산 정상 0.7km지점으로, 오른쪽은 구암 어린이집 0.7km, 둘레길은 함지고등학교 1km 방향으로 직진한다.



▲ 옛 팔거산성 위치의 현재상태로 다수의 묘들이 위치한다.



▲ 팔거산성 안내판 앞을 지나 돌아 본 모습이다.



▲ 경사지 안전을 위한 로프팬스길을 따르고 ~



▲ 100여미터 가지않아 이정목이 서있는 갈림길이 보인다.



▲ 우측이 함지고등학교 갈림길이다.



▲ 함지산 정상 0.9km지점으로, 오른쪽은 함지고등학교 0.9km, 둘레길은 대백인터빌 2.5km 방향으로 직진한다.



▲ 함지고등학교 갈림길을 지나서 돌아 본 모습이다.



▲ 벤취2개를 지나 ~



▲ 사면길을 간다.




▲ 조용히 벤취에서 휴식과 사색중인 사람곁을 지나서 ~



▲ 시원한 소나무 숲길을 따라간다.



▲ 벤치와 운동기구, 이정목이 서있는 쉼터를 만난다.



▲ 함지산 1.8km, 무태네거리 5.2km지점으로, 둘레길은 팔달역 3.6km 방향으로 직진이다.



▲ 쉼터를 지나서 돌아 본 모습이다.



▲ 쉼터를 지나 목계단을 올라간다.



▲ 목계단을 올라서면 이정목이 서있는 함지고등학교와 백년사 능선 갈림길을 만나고 ~



▲ 함지산 1.6km지점으로, 오른쪽은 함지고등학교 1.0km, 백년사 0.6km, 둘레길은 왼쪽 대백인터빌 3.3km 방향이다.



▲ 대백인터빌 방향에서 돌아 본 모습이다.



▲ 마을에서 가까운 야산이라 곁길이 상당히 많다. 이정목이 없는 오솔길 삼거리에서는 넓은길, 뚜렷한길 등을 따른다. 왼쪽방향이다.



▲ 벤치와 운동기구, 이정목이 서있는 쉼터를 만난다.



▲ 운암지 4.4km 지점으로 오른쪽은 구암숲 0.97km, 둘레길은 대백인터빌 2.6km 방향으로 직진이다.



▲ 쉼터를 지나서 돌아 본 모습이다.



▲ 다시 운동시설을 만나고 ~  여기에는 이정목이 없네?



▲ 운동시설을 지나면서 돌아 본 모습이다.



▲ 널찍한 내리막 송림길을 따른다. 편안한 맘으로 룰루랄라 ~



▲ 국번만 외로이 ~  기둥에 둥근 둘레길 표시판



▲ 묵언




▲ 진행로 우측으로는 칠곡지구가 시원시원하다.



▲ 별로 위험한것 같지 않지만 울타리목을 따라 오른다.



▲ 오늘 칠곡지구 구경 실컷한다.



▲ 오르막을 오르면 정자와 이정목이 서있는 갈림길을 만난다.



▲ 정자 좌전방에는 국가측량기준점보호판이 서있고 정자 앞에는 인식하기 힘든 삼각점이 박혀있고 ~



▲ 정자 좌후방에 둘레길 이정목이 서있다.



▲ 함지산 2.9km지점으로, 왼쪽은 노곡동 1.1km, 둘레길은 오른쪽 대백인터빌 1.7km 방향이다.



▲ 오른쪽 대백인터빌 방향에서 돌아 본 모습이다.



▲ 송림아래 통나무계단길을 따라 내려간다.



▲ 진행로 우측아래 전망데크가 눈에 들어온다.



▲ 진행로 좌측, 전망데크 맞은편에 이정목이 서있고 ~  함지산 2.8km지점으로, 둘레길은 대백인터빌 1.6km방향으로 직진한다.



▲ 전망데크 맞은편 이정목을 지나서 돌아 본 모습이다. 맞은편 전망데크로 가보자



▲ 내리막길 우측에 자리한 벤취와 전망데크의 모습이다.



▲ 요즘 유행하는 야외카페의 모습이다.




▲ 매천고등학교 전경과 그 후방 태전휴먼시아1단지아파트 단지, 태전역으로 향하는 3호선 전동차의 모습이 마치 한 폭의 그림처럼 들어온다. 




▲ 전망대를 돌아나와 ~



▲ 편안한 길을 따라간다.



▲ 평상과 벤취 운동시설을 갖춘 쉼터를 만나고 ~



▲ 쉼터를 지나면서 돌아 본 모습이다.



▲ 대구서부소방서에서 설치한 위치표시판을 지나고 ~



▲ 큼직한 돌탑 옆을 지나면 ~



▲ 몇걸음 뒤에 국번(국가지점번호)과 국가측량기준점호호판과 삼각점이 있다.




▲ 지나서 돌아본 모습이다.



▲ 내리막길에 돌탑을 만나고 ~



▲ 조금 미끄러운 암반 내리막길에는 로프팬스가 설치되어 있다. 



▲ 큼직한 참나무 앞에서 직진한다.



▲ 농가 텃밭 삼거리에서 좌측길을 따르면 ~



▲ 이정목이 서있는 팔달동 갈림길을 만난다.



▲ 함지산 정상 4.4km지점으로, 직진은 팔달동 0.2km, 둘레길은 우측 대백인터빌 0.2km 방향으로 내려간다.



▲ 우측 대백인터빌 방향에서 돌아 본 모습이다.



▲ 내리막길을 따르면 에어건(흙먼지 털이기) 시설을 지나서 ~



▲ 40~50여미터 내려가면 대백인터빌 아파트 103동 뒷쪽으로 내려온다.



▲ 도로로 내려서서 돌아 본 모습이다. 안내판과 이정목이 서있다.



▲ 북구순환테마길종합안내판이 서있고 ~



▲ 함지산 정상에서 4.6km지점으로, 둘레길은 왼쪽 팔달역 0.6km 방향으로 이동한다.



▲ 좌틀하여 몇걸음 옮기면 삼거리를 만나고 삼거리 왼쪽 전주에 붙혀있는 둘레길 표시따라 오른쪽으로 ~



▲ 삼거리에서 오른쪽으로 턴해서 돌아 본 모습이다.



▲ 대백인터빌아파트 106동 방향으로 100여미터 이동, 대백할인마트 앞 삼거리에서 좌틀한다.



▲ 좌틀하여 몇걸음 옮기면 차선없는 4거리를 만나서 우틀한다.



▲ 우틀해서 오십미터쯤 가면 길이 오른쪽으로 휘어지는 지점에 고향막창 건물을 만나고 ~



▲ 건물 좌측의 계단길을 내려서면 ~ (오른쪽 사진은 계단을 따라 내려온 곳을 돌아 본 모습으로 팔달부동산과 새마을금고 사이의 계단으로 내려온다)



▲ 곧바로 코앞에 있는 육교 승강기를 타고 칠곡중앙대로를 건너간다. 



▲ 육교를 내려와(돌아 본 모습) 좌틀하여 몇걸음 가면 "대백인터빌 건너" 승강장을 지나고 ~



▲ 60여미터 가서 경부고속도로 고가도로 앞 삼거리에서 우틀하여 50여미터쯤 가면 "팔달역1번" 승강장 앞을 지나고 ~



▲ 연이어 횡단보도와 다리(팔금교)를 건너면 ~



▲ 도로 우측에 대구둘레길 5코스의 종점이자 6코스의 시점인 "팔달역" 1번 출구 앞이다.



▲ 1번 출구 오른쪽 팔거천 옆에 둘레길 안내판이 서있다.



▲ 대구둘레길 6코스 팔달서재길 안내판이다.



▲ 1번 출구의 왼쪽에 둘레길 이정목이 서있다.



▲ 무태네거리 8.8km, 함지산 5.4km 지점으로, 둘레길은 서재문화센터 6.0km, 금호대교 3.4km 방향 직진이다.
여기서 대구둘레길 5코스를 종료, 트랭글 앱도 종료하고 팔달역에 들러서 용무를 보고 잠시 휴식후 6코스를 계속 이어가기로 한다.



▲ 트랭글 기록